본문 바로가기
2022년/Blockchain

Scalability (확장성)

by 헤옹스 2022. 4. 8.

"기존 블록체인 플랫폼의 약점"

* TPS + Block Interval

   - TPS(Transaction Per Second) : 초당 몇개의 거래(transaction) 처리가능한지

   - Block Interval : 블록 생성 간격(하나씩 블록이 생성될때의 간격)

 

ex)

    Visa : TPS 1700건

    비트코인: TPS 7        ,10분

    이더리움 : TPS 2~5  ,15-20초

    ETH : 20tps + 15초(block interval)

         => 20 * 15 = 300 transaction이 한 블록 안에 들어가게 됨.

 

Q) TPS가 10,000 이고, Block Interval이 10분이면 사용자는 어떤 경험을 하게 될까?

A) 1초에 10,000개의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내용이 한 블록안에 들어가고, 한 개의 블록생성 최대 처리 시간은 10분.

     ==> 1초에 10,000개의 트랜잭션을 처리하는데 이 내용이 담긴 블록이 완성하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은 최대 10분이 걸린다.

           ex) 단순히 친구에게 돈보내고싶어서 '송금'버튼 눌렀는데 송금되는데 10분이 걸림.

 

ETH : 15-20초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상당히 긴 시간임.

 

기존의 블록체인은 왜 느린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 참여하는 노드가 많다고해서 더 빨라지지는 않음.

 - 일반적인 웹/모바일 서비스 : 사용자가 많아짐에 따라 서비스를 최대한 빠르게 제공하기 위해 서버 증설하고, 다량의 requeset가 들어오면 일들을 따로 분산해서 처리함.

 - Node :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node는 100개의 일이 들어오면 100개의 일을 분산하지 않고, 100개의 일을 수행함.

즉, 모든 노드가 똑같은 일을 반복함.

전체 네트워크의 퍼포먼스가 제일 느린 node에 맞게 하향 평준화 됨.

컴퓨터 한대로 구성된 네트워크나, 수만대로 구성된 네트워크나 퍼포먼스가 다르지 않음.

 

즉,

비트워크 &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

 - 많은 양의 트랜잭션 처리하기 부족

 - 네트워크 자체속도 느림.

'2022년 >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 생성 및 전파  (0) 2022.04.10
합의 (Consensus)  (0) 2022.04.08
Klaytn 클레이튼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  (0) 2022.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