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Blockchain4 블록 생성 및 전파 클래이튼이 만족스러운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블록을 생성하고 전파하는지 알아보기. 블록 생성 사이클(cycle) - 클레이튼의 블록생성주기 = 라운드(round) : 새로운 블록이 생성되고 끝나는 즉시 새로운 라운드 시작. - 블록생성 간격 = 약 1초 제안자와 위원회 선택(Proposer and Committee Selection) - 제안자를 무작위(randomly) & 결정적(deterministically)으로 Governance Council 노드들 중 뽑음. - 2022. 4. 10. 합의 (Consensus) "클레이튼 이해하기" "합의에 이르기까지의 여러 알고리즘 중 클레이튼 블록체인이 어떤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문제점들을 해결하는지 알아보기" * 합의 알고리즘 - Public 블록체인 : PoW, PoS 등 - Private 블록체인 : pBFT, Raft 등 => 보통 Public블록체인보다 효율적으로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음. BFT (비잔티움 결함 허용) - 참여 노드 수 제한하여 성능 높임. - but, 분산화 약화, 결과내용이 소규모 네트워크에만 공개되기때문에 투명성 저하. => 블록체인 혜택을 의미있게 사용하지 못함. IBFT (이스탄불 비잔티움 결함 허용) : 클레이튼에서 사용하는 합의알고리즘 BFT의 성능 이점을 잘 살려서, public 블록체인의 장점과 결합할수있다는 믿음을 토대로, IBFT.. 2022. 4. 8. Scalability (확장성) "기존 블록체인 플랫폼의 약점" * TPS + Block Interval - TPS(Transaction Per Second) : 초당 몇개의 거래(transaction) 처리가능한지 - Block Interval : 블록 생성 간격(하나씩 블록이 생성될때의 간격) ex) Visa : TPS 1700건 비트코인: TPS 7 ,10분 이더리움 : TPS 2~5 ,15-20초 ETH : 20tps + 15초(block interval) => 20 * 15 = 300 transaction이 한 블록 안에 들어가게 됨. Q) TPS가 10,000 이고, Block Interval이 10분이면 사용자는 어떤 경험을 하게 될까? A) 1초에 10,000개의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내용이 한 블록안에 들어가고, 한 개의.. 2022. 4. 8. Klaytn 클레이튼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 기존은 속도, 성능, 완결성면에서 부족했지만 TPS 3000+ 저렴한 TX fee 확장성&Privacy DApp개발자가 바로 사용할수있도록 진입장벽 낮춤. 스마트계약언어 Solidity, DApp개발 플랫폼 Truffle Framework 지원. 기존 블록체인의 문제점 클레이튼의 해결방식 Wallet IDE Scope 앞으로 대중화될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을 강좌를 통해 알아보세요~ 강의자료)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oxIqcMry1UnUgJFWYE3TClFYztL8pd9O https://docs.klaytn.com/ Welcome - Klaytn Docs Disclaimer: Some notes are derived from Ethereum document.. 2022. 4.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