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계 (plan, map out, design, lay out, project, architecture)
* 메타버스(Metaverse)
-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Universe(유니버스)와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Meta(메타)'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세계 를 뜻한다. 메타버스에는 가상세계 이용자가 만들어내는 UGC(User Generated Content)가 상품으로서, 가상통화를 매개로 유통되는 특징이 있다.
- 미국IT 벤처기업인 린든랩이 만든 세컨드
* 행정 (Administration)
* 전기설계 (Electrical Engineering)
- 전기를 다루는 일.
- 각종 장비나 기기에 전기를 공급하여 일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심장에 활력을 넣어주는 일이라면 비유가 적절한지 모르겠습니다.
- 플랜트) 발전기에서 전기실로 공급되어 이후 변압기를 거쳐 현장에 설치된 모터 등 각종 전동장비로 공급되는데, 이렇게 발전기를 포함한 건물 내 아주 작은 전기 스위치까지 플랜트 내에 전기가 흐르는 곳이라면 어김없이 전기 엔지니어의 손길을 피할 수 없습니다.
앞서 배관설계에서 잠시 언급한 것처럼, 시공 입장에서 볼 때 '구조물에 장비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배관과 전선을 설치하는 것이 전부'라고 할 정도로 전선(cable)의 물량이 많습니다. 배관이 pipe를 통해 설비와 설비를 연결하고 유체를 흐르게 한다면, 전기는 cable로 연결하여 전기가 흐르게 한 것이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니 cable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적절한 표현이겠습니다.
전기 관련 설비
는 전기실 내에 설치되는 대형 장비 일부를 제외하면 밖에서 눈에 보이는 것은 cable 뿐입니다. 그렇다 보니 '전기'하면 'cable'이 가장 먼저 연상되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훨씬 많은 업무를 합니다. 아쉬운 것은, 전기 설계가 사소한 것부터 큰 것까지 아주 많은 일을 함에도 대부분 눈에 보이는 일이 아니다 보니 현업에서 기계나 배관설계에 비해 홀대받는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습니다.
* 지구온난화 원인과 대책
<온난화 현상의 이유>
이산화탄소가 너무 많아서 오존층의 사이사이를 벌려서 오존층에 구멍을 낸다. 이 구멍으로 햇빛이 오존층으로 걸러지지 않고 바로 들어와서 햇빛의 세기가 오존층에 걸러져 오는 것과 걸러지지 않고 온 것의 차이는 매우 크다. 이 햇빛은 우리의피부를 상하게 하고, 비가 내리지 않고, 식물들은 말라서 다 죽고 풀을 먹는 동물들이 죽고 육식동물이 죽고 결국 우리 사람도 죽어서 멸망에 이를 수 있다.
<온난화 현상의 경과>
온난화는 1972년 로마클럽 보고서에서 처음 공식적ㅇ로 지적되었다. 이후 1985년 세계기상기구(WMO)와 국제연합환경계획(UNNEP)이 이산화탄소가 온난화의 주범임을 공식으로 선언했다. 1988년에는 구성되어 기후 변화에 관한 조사와 연구를 행하고 있다. 198년 미국항공우주국 (NASA)에서 미국 의회에 지구온난화에 대한 발언을 한 것을 계기로 일반인에게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지구의 연평군기온온은 원ㄹ 400년에서 500년 정도를 주기로 약 1.5도씨의 범위에서 계속 변화한다. 15세기 19세기까지는 비교적 기온이 낮은 시기였으며 20세긱에 들어와서는 기온이 오르고 있어서, 어떤 면에서는 기온 상승이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도 있다. 하지만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양은 2000년까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다르 온실기체도 증가하고 있다.
<온난화 현상의 원인>
온난화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앗으나, 온실효과를 이르키는 온실기체가 유력한 원인으로 꼽힌다. 온실기체로는 이산화탄소가 가장 대표적이며 인류의 산업화와 함께 그 양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외에도 메테인, 수증기가 대표적인 온실기체다. 특히 현대에 사용하기시작한 프레온가스는 한 분자당 온실효과를 가장 크게 일으킨다. 또한 인류가 숲을 파괴하거나 환경오염 떄문에 산호초가 줄어드는 거세 의해서 온난화 현상이 심해진다는 가설도 있다. 나무나 실호가 줄어듦으로써 공기 중에 잇는 이산화탄소를 자연계가 흡수하지 못해서 이산화탄소의 양이 계속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설 이외에도 태양 방사선이 온도상승에 영향을 준다거나, 오존층이 감소하는 것이 영향을 준다거나 하는 가설이 있지만 온실효과 이외에는 뚜혓한 과학적 합의점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온난화 현상의 결과>
지구의 연평균기온이 계속 올라감으로써 따이나 바다에 들어 있는 각종 기체가 대기 중에 더욱 많이 흘러나올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피드백 효과는 온난화를 더욱 빠르게진행시킬 것이다. 온난화에 의해 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가하면서 평균강수량이 증가할 것이라고, 이는 홍수나 가뭄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가장 큰 문제는 해수면이 상승하는 것으로, 기온 상승에 따라 빙하가 녹으면서 이 현상이 일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2000년 7월 NASA는 지구온난화로 그린란드의 빙하가 녹아내려 지난 100년간 그 빙하두께가 흘러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으면, 가까운 도시에는 물에 잠길 수 있는 큰 위험에 빠진다.
'2022년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정리 2 (0) | 2022.08.23 |
---|---|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재일교포 연대기, <파친코> (0) | 2022.08.23 |
웹 서버가 우리에게 주는 것 (0) | 2022.07.28 |
ㅋㅈㅇㅇ (0) | 2022.07.20 |
TIL 참고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