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ipfa 필기

0728

by 헤옹스 2017. 7. 28.

<<Produc와 Service>>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경제의 핵심 동작원리가 다름 : 시장경제

- 자본주의 : information theory(가격) 정보를 가지고 구매자와 판매자가 상호작용이 일어남.

- 공산주의 : information theory(명령정보를 가지고 구매자와 판매자가 상호작용이 일어남. 

  => 필요로하는사람에게 획일적으로 나눠주는것. 판매자가 없음.



Product : tangible(눈에 보이는) commodity. 가격을 매개로 인터랙션 일어남.

Service : intangible(눈에 보이지 않는) commodity

- 왜 많은 기업들이 Product -> Service로 바꾸려할까?

1)

다른기업이 copycat하면 방법이 없음.?!

돈은 많이 못벌지만 시장점유율은 삼성이 높음.

개(삼성)가 주인(애플)을 물었다. 그래도 주인이 개를 버리지 못함.

똑같은 주인이 되려함. 삼성은 애플에게 부품 공급해주면서 1-2억대 이상 공급해줌. 이런규모가 가능한것은 LG와 삼성밖에 없음.

통신모뎀(반도체)도 삼성이 제일 나음. 반도체로 돈벌면서 핸드폰 곁다리로 파는거임.

시장점유율이 높음. 이윤이 없어서 그렇지 매출액은 400억?조? 넘잖어.


2)

재고가 없음.

경쟁자들이 따라하기(copy) 쉽지 않음.

=> 디자인 등 특허로 보호하지만, 중국은 깡그리 다 무시하고 카피해버림. 중국내부로 가는 해외기업들은 정확한 상법체계가 있더라도 중국기업은 준수하지 않음. 그래서 다 중국에서 나와버림.

<Service의 5가지 속성>

-Intangibility.

-Inventory

-Inpercep




<<Market(시장)과 Industry(산업)>>

-시장 : 비슷한 속성의 수요자 모듬

-산업 : 비슷한 속성의 생산자 모듬.



<<Types of Market>>

- Vertical Market : 반도체 장비, 무기 등

- Horizontal Market : 냉장고, 세탁기, MS Office 등


중고, 잔고장 등으로 구별가능



<Product의 Servitization  VS. Service의 Productization.>

1. Product의 Servitization  


2. Service의 Productization

- 이동통신회사에서 많이 함.

 ex) skt의 스카이

아마존의 dat?

- 서비스가 눈에 보이게하고싶은것.

- 인공지능 스피커 : 음성, 귀로 들을수잇음,


- 서비스 제공하는 데 표준화되어있음. 차별성이 없음. 품질에도 차이 거의 못느낌. 데이터통신도...

- 삼사가 기지국을 공유하고있기때문. sk만 독자적인 기지국가지고 따로씀.

-마케팅능력(광고)가지고 차이낼뿐. sk > kt >>>>>> LG(시장점유율이낮고 돈을못버니까 광고도많이 못함.)

ex) LG생활건강(샴푸, 화장품, ), LG화학

ex) 구글의 NEST, 구글의 자동차, 네이버의 자율주행자동차(뒤늦게..), 

애플의 운영체계를 기반으로해서 파생제품을 만들어나감. 

- 프로덕트의 서비스화를 잘안하긴함(기껏해야 iMessage, GoogleMap, 애플페이(?) 정도,,,? but 시원찮음. 아직 애플도 제조업자의마인드가 강한것.)


=> 통신(digital이든 analogue든) 때문에



<close loop cycle>

고객의 생애주기에따라서 서비스를 프로덕트화하는것임.

사람은 생로병사하는것. 기본적인 사이클이 잇음. 모든영역에 대부분 사이클이 존재함.

기업에서 다른 기업을 흡수하면, 고객이 낚시미끼를 물게 만듦.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하여 구매하게 만듦. 머무르게하길 원함(쿠폰, 소통).

다시 구매 사이클로 들어가게 하고자함.

CRM을 추상적으로 마케팅만하는게아니라 

구글이 고객 인당 

네이버가 고객들에게 고객 한명당에게 안겨주는 매출액.....? 


이메일15GB넘으면 유료임.

코스트코 경쟁업체에 비해 저렴함. but 회비!! 30000원을 기본으로 함. 회원 탈퇴율이 굉장히 낮음. 반품정책도 고객위주로 되어있음.

제품 마진율 4-5%밖에안됨..

옷도 8개월이상 입고 갖다줘도 암말안하고 환불해줌. 고객을 붙잡아두려는 전략.



<Product Service System 의 정의>

intentional stance

= free floating

= 의도성 by.데카르트

Product Service System 이란특정


ex.시선 : focus가되어있음. 의도가 개입되어있음..

ex.렌즈를 만들때 다르게 가공하여 Nicon은 어둡게나오고(분위기가 엄중한맛이있음.) Canon은 밝게나옴(인물사진찍을때 많이 사용.)


플랫폼이란, Overlappng user들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설계된 시스템(input, output, 처리의 개념). 

Product와 Service의 조합 = PSS.

이런게 IoT에 내장되어 Connected Product가 되는것.


소비자들의 specific한 니즈를 충족시키는것 : Service.

목적을 갖고 actuate(동작)함.

결과 : 기분(mind)이 드는것.(추상적임)


자주쓰는명령은 cpu에서 훨신 빠름.

직관이란?

컴퓨터는 1-10까지 모두연산하지만 사람은 공식화하여 직관을 갖게됨. energy saving machine이기때문.

반복하여 나온 패턴을 가지고 반복을 안하게함. 진화의 비결. 다른동물과 다른점.

오랑우탄은 10년을 학습시켜야함. 

인간의 뇌도 학습시간이 굉장히 김. 

인간의 뇌는 빈 껍데기에 타고난 축약명령어화된 것이 들어가있는것.(어쩌다발생한 조합.돌연변이.변형체.타고난 능력.) '

ex. 피카소,모짜르트,아인슈타인 등


제록스의 (document management service)인쇄서비스. 복사기 기업에 갖다주고 인쇄부수마다 일정한 요금을 부과함.

서비스를 팔고잇음. 수요를 감지할때마다 서비스를 제공함.


o














'kipfa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06_Controlling Arduino With Python Based Web API (No Php) 1  (0) 2017.08.07
0807_python을 이용한 네이버 뉴스 webcrawling 예제 코드  (0) 2017.08.07
0727 오후  (0) 2017.07.27
0727 오전  (0) 2017.07.27
0725  (0) 2017.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