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ipfa 필기

0810_사물인터넷 제품, 서비스 개발을 위한 UI/UX 1

by 헤옹스 2017. 8. 10.

좋은 UX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주는것,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것,

더 적은 힘으로 더 빠른 속도로 과업을 완료할 수 있는것,

쉽게 배워 사용이 가능한,

원하는 목표를 달서할 수 있는,

결과물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과

업(Task)을 완료한 후에는 만족감이 있는,

반복해서 사용하고 싶어지는 것 등을 포함한다.

 

 

나쁜 UX

사용하기 위해서 많은 학습시간이

높은 수준의 배경지식이 요구되는

우너하는 목적을 완벽하게 달성하지 못하여 보충작업이 필요한,

과업 중 에러/오류가 많은

사용 후 무언가 불편하고 불만족스러운

다시 사용하고 싶지 않은 것 등을 포함한다.

 

*affordance : 사용유동성

 

 

UX 디자인 프로세스

우리가 만드는 제품, 서비스, 시스템이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틀어 사용자 경험 디자인(UXD, User eXperience Design)이라고 부른다.

 

1. 사용자 조사(사용자/ 환경/ 과업분석)

2. 정보구조 설계

3.4. 인터랙션/인터페이스 디자인

5. 사용성 테스트

 

 

1. 사용자 조사

 : UX디자인에서 가장 필수적인 단계. 프로세스의 첫 단추. 목적물을 실제로 사용하게 될 사용자가 무엇을 원하고 환경, 과업은 무엇인지 분석.

 

2. 정보구조 설계(IA, Informatin Architecture)

 : 정의된 목적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목적물의 구조를 설계하는 단계. 사용자의 정보 탐색 행동과 목적물의 특성을 고려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및 기능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 정보를 체계화 시키는 단계.

- 1번의 과정을 바탕으로 정의, 명령어, 구성방법, 매핑 순서, 기획에 대한 행위를 할 수 있어야 함.

- 순서도와 비슷(화면 순서도, 화면 흐름도)

- ER Diagram 과 비슷...

 

3.4. 인터랙션/인터페이스 디자인

 : 2 과정을 통해 정보가 체계화되고 탐색방식과 표현방법을 결정한 후, 사용자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하는 인터랙션 및 인터페이스 디자인 과정이 필요하다.

목적물이 사용자와 만낫을때 상호작용을 정의하는 작업. (=동선설계)

각 페이지 전후관계, 또는 페이지 내 UI 요소들간의 상호작용을 정의하는 것.

- 세부 화면 흐름도와 비슷한둣(화면 순서도, 화면 흐름도)

 

인간의 인지적 요소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인간공학 전문가가 많이 도전하는 분야.)

ex. 웹 사이트와 같이 다양한 정보가 네트워크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서비스의 경우 정보를 읽는 방향, 시선이 머무는 위치 및 흐름 등을 고려해 디자인 한다.(eye tracking) => 어느부분에 어떤 정보를 둬야하는지, 어느쪽에 두는 광고가 더 비쌀지를 결정하기 때문에 이게 다 돈임.

ex. 네이버 등 포탈 웹사이트에 배치하는 온라인 광고배너들...

 

* 비주얼 디자인

 - 정의된 인터랙션과 인터페이스를 가장 효과적으로 시각화하기 위한 디자인.

 - 실제 회사에서는 비주얼 디자인 단계를 좀 더 앞서서 진행하기도 하며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유기적으로 협력하며 보다 나은 경험을 완성하기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하기도 함.

- 브랜드 아이덴티티 ,이전 버전과의 일관성, 타 브랜드와의 차별화, 매력적인 사용을 위해 매우 중요함.

Style

 -Color

 - Icons

 - Imagery

 - Sound

 - Typography

 - Writing

 

 **art와 디자이너의 차이

 : 예술적가치는 인정받되, 남의 눈을 신경안씀. 효율적인 부분을 고려함

 

 

5. 사용성 평가

- 목적물이 정말 사용자가 잘 쓸 수 있게 만들어진 것인지 검증하는 것.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

유용한지, 편리한지, 사용과정에 문제점은 없는지 평가하고 개선점을 찾는 과정.

 - 프로토타이 만들어진 후에 평가 가능

 

- 분석방법은 두가지

  정량적인 분석 : 측정 가능한 데이터로 사용성을 확인

  정상적인 분석 : 의견이나 관찰 사항 등 주관적 데이터로 확인

 

Useful

Desirable

Accesible

Valuable

Credible

Usable

Findable

 

 

 

자질과 책임

산업공학(인간공학, HCI)

디자인 계열(산디, 공디, 건축학, 미디어학)

심리학(인지심리학 소비자 심리학)

인문학/사회과학(문헌정보학, 사회학, 언어학, 국문학, 영문학, 문화기술학 등)

 

 

* Interface는 사람이 접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한것

UI

- IA(LUI) : 정보설계전문가들

- GUI : graphic적인것. 비쥬얼디자인전공

- PUI : ex. 외관에 대한UI, 산업공학전문가들

- SUI(AUI) : ex. 게임

- 후각UI

 

 

 

 

 

 

 

'kipfa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11_수업  (0) 2017.08.11
0811 UI/UX수업_과제발표_서비스 디자인  (0) 2017.08.11
오픈소스진흥회?  (0) 2017.08.09
0808_파이썬과 pysqlite 연동  (0) 2017.08.08
0808_파이썬3 네이버 환율 정보 파싱  (0) 2017.08.08